자고로 한국인은 해학과 풍자의 민족이다. 대표적인 문화가 탈춤이다. 계급질서가 지배하던 시절, 양반네들의 허위와 가식을 ‘돌려까기’의 진수인 ‘풍자’로, 민초들의 아픔과 설움을 ‘뒤집기’의 진수인 ‘해학’으로 풀어낸 게 탈춤이다. 마당놀이 탈춤은 서민들의 애환을 …
데스크 칼럼
-
-
최윤주 대표 _ 텍사스 한국일보 불과 6년전이다. 2013년 8월 29일 조선일보는 『김정은 옛 애인등 10여명, 음란물 찍어 총살돼』라는 기사를 실어 국내외를 발칵 뒤집었다. 안용현 베이징 특파원 이름으로 작성된 기사는 김정은의 …
-
“결코 잊지 않겠습니다”라고 했다. “끝까지 기억하겠습니다”라고 했다. 세월호 참사로 일상이 휘청일 만큼 많이 울고 분노하던 때 일이다. “잊지 않겠다”는 말을 되뇌일 때마다 심장 한 구석이 얘기했다. 정말 잊지 않을 수 …
-
미주총연 정관에는 “지역한인회를 관장하고 전체 미주한인을 대표한다”고 적혀있다. 곱씹고 또 곱씹어 읽어도 충격이 가시기는 커녕 분노가 일 지경이다. 누가 그들에게 지역 한인회를 관장할 권한을 주었으며, 전체 미주 한인을 대표할 수 …
-
한인사회 분열은 무모한 욕심이 만들어내는 결과물이다. 누군가의 욕심이, 또 다른 누군가의 욕심과 만나, 더 큰 욕심이 되고, 결국 다른 욕심 혹은 특정인의 욕심을 거부하는 세력과 부딪치며 다툼이 된다. 욕심을 경계한 …
-
최윤주 _ 텍사스 한국일보 대표·편집국장 ‘홍역은 평생 안 걸리면 무덤에서라도 걸린다.’ 홍역은 누구나 한번은 치러야 하는 병이라는 뜻을 지닌 속담이다. ‘홍역을 치르다’라는 관용구가 있다. 몹시 애를 먹거나 어려움에 직면한 상황에서 …
-
최윤주 편집국장 choi@koreatimestx.com 돌이켜보면 기껏해야 ‘전설의 고향’이었다. “내 다리 내놔”라고 외치는 외발귀신의 대사에 비명을 내지르고, 천년 묵은 구미호의 눈빛이 꿈에 나타날까 무서워 두 눈을 가렸다. 공포는 인간 역사와 공존했다. 어느 …
-
한국 국적법의 이중성은 한인 2세들을 빠져 나올 수 없는 덫에 갇히게 만든다. 혈연주의를 따르는 한국은 부모중 한 명이 한국 국적자여도 외국에서 태어난 한인 2세들에게 자동으로 한국 국적을 부여한다. 때문에 한국 …
-
한국의 담은 특별하다. 삐뚤빼뚤하게 쌓여진 돌담과 무심한듯 엮은 싸리담은 가공하지 않은 자연의 멋이 가득 하다. 고풍 가득한 한국의 담이 서양 건축물이나 현대 감각과 다른 구조물과 다른 점은 ‘높이’다. 높지 않은 담은 …
-
교민의 ‘교(僑)’는 ‘잠시 머물러 살다’ 혹은 ‘더부살이하다’는 의미를 지닌다. ‘남의 나라에 더부살이로 빌붙어 사는 떠돌이’ 쯤으로 표현하는 ‘교포’ ‘교민’ 등의 단어는 해외 동포들의 비위를 거스를 수밖에 없다. ‘수미네 반찬’이 인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