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주총연, 한국인 전용 취업비자(E-4) 추진
- 45년 역사의 미주총연, 동포사회 발전 위해 최선
- 서정일 총회장 “분열 딛고 갖춘 역대 최고의 조직력과 응집력”
미주한인회총연합회(총회장 서정일. 이하 미주총연)가 한국인 전용 취업비자(E-4) 신설에 앞장선다.
한국인 전용 취업비자(E-4) 도입은 2013년 처음 연방의회에 첫 발의된 이후 의회 통과의 벽을 넘지 못하고 10년이 넘도록 답보 상태에 빠져있다.
지난 6일(금) 달라스를 방문한 서정일 총회장은 오전 10시부터 진행된 간담회에서 “추첨의 벽이 높은 취업비자(H-1B) 취득이 어려워 전문직 한인들이 미국내에서 합법적인 취업을 하기 어렵다”며 “한국인 전용 E-4 비자가 의회를 통과할 수 있도록 각 지역 한인들이 지역내 연방 의원들에게 압력을 넣어달라”고 당부했다.
이민자인 한국인이 미국에서 합법적인 체류신분의 직업을 갖기 위해서는 취업비자(H-1B)가 필요하다.
취업비자(H-1B)는 매 회계연도마다 총 8만 5,000개의 비자로 제한되어 있다. 이 중 2만개는 석사 학위 이상의 소지자에게만 제공된다. 석사 학위를 받지 않은 취업비자 신청자는 매년 6만 5,000개의 비자 쿼터를 두고 치열한 경쟁을 벌여야 한다.
그러나 미국은 취업비자(H-1B) 연간 발급한도와는 별개로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한 5개국에 대해 별도의 취업비자 연간 쿼터를 부여하고 있다. 캐나다(무제한), 멕시코(무제한), 싱가포르(연 5,400명), 칠레(연 1,400명), 호주(연 1만500명) 등이다.
한국은 2012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를 체결했음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취업비자 쿼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
한국인 전용 취업비자(E-4) 신설 법안은 2013년 이후 연방의회 회기 때마다 발의됐으나 매번 무산됐다. 2022년에는 연방 하원을 통과하기도 했지만 회기가 바뀌면서 무위로 돌아갔다.
서정일 총회장은 “미 전역의 한인 정치인을 비롯해 주류사회 정치인들과 협력해 내년 임기에도 한국인 전용 취업비자(E-4) 신설법안을 상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간담회에서 미주한인회총연합회의 역사와 설립 이념, 지난 1년 간의 성과와 향후 비전을 설명한 서정일 총회장은 “오랜 분열 끝에 통합을 이룬 제29대 미주총연이 화합을 위한 과도기였다면, 현재의 제30대 미주총연은 사상유래없는 조직력과 응집력을 갖춘 성장기”라며 “미주 한인 동포사회를 위해 제대로 일할 수 있는 여건을 갖춘만큼 동포사회 발전과 성장을 위한 활동을 추진력있게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서정일 총회장을 필두로 한 제30대 미주총연은 △재외국민 우편투표제 실시 △재외동포 비례대표 국회의원 배출 △선천적 복수국적제도 보완 △복수국적 나이 제한 철폐 △재외동포 한국 내 금융업무 개선 등 한국 정부를 상대로 한 활동도 활발하게 추진중이다.
미주총연은 미 전역에 산재한 180여개 한인회의 연합체를 표방한다. 전국에 8개의 연합회를 산하에 두고 있으며 미 전역의 전현직 한인회장들이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난 10여년간 협회내 갈등을 겪으면서 ‘분규단체’로 지정돼 한국 정부와의 연계작업을 해오지 못했던 미주총연은 2022년 3개로 갈라진 총연이 하나로 통합되면서 본격적인 활동을 재개했다.
지난해 11월 제30대 미주총연회장으로 취임한 서정일 총회장은 미 전역과 한국을 왕래하며 한인사회 대변자 및 정치력 증진의 교량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한편 서정일 총회장은 이날 간담회에서 달라스 한인회에 활동기금을 후원하고, 김성한 달라스한인회장과 박기남 포트워스한인회장에게 미주총연 배지를 전달했다.
이번 간담회는 달라스 한인회(회장 김성한) 주최로 진행됐으며, 한인회 임원진 및 달라스 한인 동포사회 단체장들이 참석했다.
최윤주 기자 choi@koreatimestx.com
Copyright ⓒ Korea Times Media
[사진 및 기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