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윤주 칼럼] 해킹정국 by admin 2015-07-31 2015-07-31 바야흐로 해킹정국이다. 국정원의 대통령 선거 개입 의혹에 이어, 국정원이 대선을 목전에 둔 시점에 해킹프로그램을 구입했다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국민을 상대로 불법사찰을 한 게 아니냐는 의혹에 힘이 실리고 있다. “대북 정보전을 위한 정당한 … 0 FacebookTwitterPinterestEmail
[최윤주 칼럼] 호락호락하지 않은 깃발 by admin 2015-07-16 2015-07-16 노예제도를 정당화 하기 위한 미국의 인종차별은 남북전쟁이 끝나고 노예가 해방된 지 150년이라는 시간을 지나왔지만 여전히 현실 속에 건재해왔다. 그 상징이 남부연합기의 존속이었다. 그러나 21세의 어린 … 0 FacebookTwitterPinterestEmail
[최윤주 칼럼] 민낯 뒤의 가면 by admin 2015-07-15 2015-07-15 그리스 시대, 배우들은 무대 위에서 ‘가면’을 썼다. 가면을 쓰는 순간, 배우 자신은 가면 뒤에 철저히 가려졌다. 맡은 배역의 인격만이 무대 위에 존재할 뿐이다. 고대의 연극이 가면을 사용한 이유는 … 0 FacebookTwitterPinterestEmail
[최윤주 칼럼] 모방과 표절 by admin 2015-06-26 2015-06-26 스티브 잡스는 인류의 혁신을 이끌었다. 한 때 그를 가리켜 외계인이라는 우스개소리도 있었다. 지구행성에 온 외계인 스티브 잡스가 자신의 별에서 사용하던 물건들을 하나하나 선보인다는 농담이 진담처럼 … 0 FacebookTwitterPinterestEmail
[최윤주 칼럼] 리플리 양성소 by admin 2015-06-23 2015-06-23 알랭들롱이 열연한 영화 ‘태양은 가득히’는 영국의 여류작가 패트리샤 하이스미스가 쓴 소설 ‘재능있는 리플리씨’를 토대로 만들어졌다. 별 볼일 없는 주인공이 재벌 아들인 친구를 죽인 후, 죽은 친구의 신분으로 위장해 새로운 삶을 … 0 FacebookTwitterPinterestEmail
[최윤주 칼럼] 메르스와 사스 by admin 2015-06-13 2015-06-13 2003년 3월 홍콩의 미국인 사업가가 사망하면서 처음 보고된 사스는 몇 주만에 32개국으로 퍼졌다. 순식간에 전 세계에서 8,400여명의 환자가 발생했고 이 중 10.9%가 사망했다. 전 세계가 사스 공포에 … 0 FacebookTwitterPinterestEmail
[최윤주 칼럼] 멈추지 않는 총기비극 by admin 2015-05-26 2015-05-26 1791년 수정헌법 2조를 채택한 ‘건국의 아버지’들이 총기 소유에 어떤 생각을 지녔는지 살펴보면 미국이 왜 ‘총기의 나라’인지 쉽게 알 수 있다. 미국 독립선언서를 만든 토머스 제퍼슨은 “총은 미국인들에게 자유의 무기다”라고 말했고, … 0 FacebookTwitterPinterestEmail
[최윤주 칼럼] 한인들의 모순된 ‘인종차별’ by admin 2015-05-16 2015-05-16 ‘인종차별의 싸움’으로 축약되는 미국의 근현대사에 ‘최초의 흑인대통령 당선’은 엄청난 반전이었다. 흑인대통령 탄생 7년. 그러나 흑인에 대한 미국 사회의 뿌리깊은 인종편견은 여전히 지워지지 않고 있다. … 1 FacebookTwitterPinterestEmail
[최윤주 칼럼] 희안한 기자회견 by admin 2015-05-12 2015-05-12 뇌리에 각인되지 않는 광고카피는 죽은 활자에 불과하다. 몇 마디 말에 펄펄 살아 뛰는 생명력을 담아야 하고, 틀을 깨는 한마디로 통쾌한 한 방을 날리거나 숨겨진 마음을 절묘하게 … 0 FacebookTwitterPinterestEmail
[최윤주 칼럼] 거짓말쟁이 by admin 2015-05-01 2015-05-01 성경에 나오는 거짓말의 시조가 하와에게 선악과를 따먹으라고 시킨 뱀이었다면, 그리스 신화에서는 헤르메스의 거짓말을 꼽을 수 있다. 헤르메스는 형 아폴론의 소를 훔쳐가면서 소의 꼬리를 끌어 뒤로 걷게 하고, … 0 FacebookTwitterPinterestEm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