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12일(목) 『달라스 한인회 배제한 캐롤튼 코리아 타운 추진 ‘제동’』 제하의 본지 보도가 나간 후 달라스-캐롤튼-포트워스 등 북텍사스 한인 밀집지역 ‘코리아 타운’ 추진을 총괄할 수 있는 협의체 구성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북텍사스 한인 단체들이 모두 참가하는 협의체 구성은 단체별 회장 임기가 종료되더라도 차기 회장이 대표성을 인계받아 코리아타운 추진의 지속적인 동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캐롤튼 코리아 타운 지정 및 조성사업, 다시 순항
텍사스 코리아 타운 번영회(The Korea-Town Development Initiatives. 이하 텍사스 번영회)가 캐롤튼 코리아타운 지정 사업을 독자적으로 추진하자, 공개적으로 제동을 걸었던 달라스 한인회 김성한 회장은 23일(월) 코리아타임즈미디어와의 인터뷰에서 코리아 타운 추진 및 조성사업은 일부 단체만의 노력으로 될 일이 아니라고 거듭 강조했다.
“코리아 타운은 특정 단체의 힘과 수고가 아닌 한인 사회 전반의 참여가 전제 조건”이라고 못박은 달라스 한인회 김성한 회장은 “지정 추진사업은 한인회와 상공회가 기동력있게 협력 추진하고, 행정절차가 마무리된 이후에 돌입하는 조성사업은 한인사회 전체가 하나로 뜻을 모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김성한 회장이 캐롤튼 코리아 타운 추진사업을 ‘지정 단계’와 ‘조성 단계’로 나눈 이유는 단계별 접근이 필요하다는 게 이유다. 코리아 타운 지정 단계에서는 시의회와 주정부를 대상으로 한 행정 절차가 중요하고, 조성 단계에서는 모금과 추진력이 주된 동력이 된다는 설명이다.
선결과제는 ‘코리아타운 지정’이다. 캐롤튼 한인 상권이 코리아 타운으로 지정되기 위해선 캐롤튼 시의회를 거쳐 텍사스 주정부 승인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이를 성사시키기 위해서는 캐롤튼 한인 상권 내 건물 소유주의 동의서 취합, 코리아 타운 조성과 관련한 세부계획 수립 등 한인 커뮤니티 차원의 행정적 절차와 전략이 필요하다.
달라스 코리아 타운(Koreatown Dallas) 지정도 비슷한 과정을 거쳤다.
2016년 시작한 달라스 코리아 타운 지정사업은 2020년 이후 가속화되면서 2023년 결실을 맺었다. 그 중심에 달라스 한인상공회(회장 이상윤)가 있다. 달라스 상공회 제17대 회장(2015-2016)을 역임한 존 리(John Lee) 전 회장이 임기 중 첫 삽을 뜬 후 2021년 제30대 김현겸 회장 임기에 가속도를 내 2023년 5월 23일 텍사스 주정부가 ‘코리아타운’으로 공식지정했다.
아직까지 달라스 코리아 타운은 조성사업으로 전환되지 못한 상태다.
달라스 한인상공회가 주축이 돼 텍사스 번영회를 발족시킨 이유도 여기에 있다. 상공회 중심으로 추진됐던 코리아타운 명명사업이 텍사스 주정부 공식 지정으로 실효를 얻었으니, 한인사회 전체가 참여하는 단체를 만들어 코리아타운 조성사업으로 사업의 성격과 주체를 전환해야 한다는 당위성에 기인한 설립이었다.
달라스 한인회-상공회, 협업으로 ‘코리아 타운 지정’ 주도
그러나 텍사스 번영회는 달라스 한인사회 전반의 참여를 견인하지 못한 채, 달라스 한인회와 같은 업무를 다른 창구로 추진하다 마찰을 빚는 사태를 맞았다.
다행히 달라스 한인회(회장 김성한)와 달라스 한인상공회(회장 이상윤)의 협업으로 캐롤튼 코리아타운 추진사업은 정상궤도를 찾아 순항중이다.
9월 24일(월) 달라스 한인사회와 캐롤튼 시는 ‘코리아 타운 지정’과 관련해 논의하는 공식 모임을 개최했다. 이 날 모임에는 스티브 바빅 캐롤튼 시장을 비롯해 시의회 관계자가 참석했으며, 한인사회에서는 달라스 한인회 김성한 회장과 우성철 수석 부회장, 달라스 한인 상공회 이상윤 회장과 신동헌 부회장, 김영훈 PCB 뱅크 캐롤튼 지점장 등이 참석했다.
이날 모임에서는 구체적인 코리아 타운 범위 지정과 텍사스 주정부 인가에 필요한 준비작업, 코리아타운 공원 조성 등 진전있는 논의가 이어졌다.
코리아 타운 조성사업, 개별 단체 주도로는 불가
2023년 5월 23일 텍사스 주정부로부터 ‘코리아타운’으로 공식지정받은 달라스 한인타운 사례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한인 커뮤니티의 적극적인 시도와 시의회의 적극적인 지원이 있다면 ‘코리아 타운 지정’은 충분히 가능하다.
문제는 코리아 타운 조성사업이다. 행정절차로 이뤄낸 성과를 눈에 보이는 결실로 만들어내는 게 코리아 타운 만들기, 즉 조성사업이다.
코리아 타운 조성사업은 동포사회의 재정 지원과 협력, 재외공관과 재외동포청의 지원, 코리아타운 내 한인 비즈니스맨들의 동참 등이 하모니를 이뤄야 가능한 일이다. 대한민국 정부 지원금 또한 개별 단체로는 수령이 불가능하다.
‘코리아 타운’ 추진을 총괄할 수 있는 협의체 구성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모범적인 선례가 달라스 한인문화센터(Korean Cultural Center of Dallas. KCCD) 매입이다.
2014년 달라스 한인사회는 동포사회 성금과 대한민국 정부 지원금 등을 모아 지금의 한인문화센터를 매입했다. 당시 문화센터 매입사업은 제33대 달라스 한인회(회장 안영호)가 주축이 돼 추진했으나 달라스한인문화센터(KCCD)라는 기구를 별도 신설, 한인사회의 광범위한 지원과 참여를 이끌어냈다.
코리아 타운 건설의 구심점 ‘한인사회 협의체’ 필요
‘코리아 타운’은 미국땅을 살아가는 한인들의 자부심이다.
미 전역에 주정부로부터 ‘코리아 타운’을 공식 지정 받은 곳은 손에 꼽을 정도다. 주정부의 공식 인증이 ‘문서’에 그치지 않고 지역 경제 발전의 토대가 되고 문화 창달의 구심점이 되는 모범사례로 승화시키는 것은 전적으로 한인사회의 몫이다.
그렇기 때문에 ‘코리아 타운’ 추진은 특정단체가 아닌 한인사회 전반이 참여한 총괄 협의체의 주도로 이뤄져야 한다. 이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달라스 코리아 타운 공식 지정 후 발족된 텍사스 번영회 조직 활용론 또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달라스 한인 상공회 이상윤 회장은 “텍사스 번영회는 달라스 코리아 타운 지정을 추진했던 상공회가 코리아 타운 조성을 위해 조직한 단체”라고 설명한다.
이상윤 회장은 ” 북텍사스 한인 단체들이 모두 참여해 텍사스 번영회 조직을 재편한다면, 캐롤튼 뿐 아니라 이미 텍사스 주정부로부터 ‘코리아 타운’을 인정받은 달라스 한인타운, 그리고 향후 건설될 할텀시티(Haltom City) 한인 상가까지 한국인의 자부심을 극대화시킬 코리아 타운 건설의 구심점이 될 것”이라고 밝힌다.
달라스 한인회 김성한 회장은 큰 틀에서 의견을 같이 하되, 조심스런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김성한 회장은 “코리아타운 조성을 위해 한인사회 전반의 참여로 이뤄진 전담기구 설치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하는 한편 텍사스 번영회 활용보다는 새판 짜기에 무게를 둔다. 이미 주정부에 등록된 내용을 수정하는 것보다 한인사회 전체가 참여한 조직을 만드는 게 합리적이라는 이유다.
“장기적 관점에서 각 단체의 회장이 바뀌어도 신임회장이 협의체 활동을 이어갈 수 있도록 체계적인 구조와 정관을 갖춘 조직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힌 김성한 회장은 “텍사스 번영회를 재편해 활용하든, 새로운 단체를 만들든, 한인 단체장들의 의견을 취합해 추진하는 게 옳은 방향이라 본다. 코리안 페스티벌이 끝난 직후 이와 관련한 조직 구성에 관해 한인 단체장들과 공개 논의하는 자리를 만들겠다”고 전했다.
최윤주 기자 choi@koreatimestx.com
Copyright ⓒ Korea Times Media
[사진 및 기사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sponsored>>